본문 바로가기
포트폴리오 만들기

모션그래픽 포트폴리오 제작: 스토리보드와 애니매틱 작업

by B_모션 2025. 1. 2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B_모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난 블로그에서 소개했던 가상의 외주 상황극을 바탕으로 스토리보드와 애니매틱 작업을 진행한 과정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본격적으로 영상 제작에 앞서,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구체화하고, 애니메이션의 흐름을 테스트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스토리보드와 애니매틱 작업은 처음 접근하기에는 조금 막막할 수 있지만, 이번 작업을 통해 그 중요성과 재미를 다시금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함께 보시죠! 😊

 

1. 스토리보드 작업: 영상의 뼈대를 세우다

스토리보드는 영상 제작의 설계도와도 같습니다. 이번 작업에서는 클라이언트(가상의 블루베리 농장 사장님)가 요청한 주요 포인트를 중심으로, 영상을 어떻게 구성할지 구체적으로 계획했습니다.

 

주요 작업 내용

  • 영상의 주제와 흐름 구성: 블루베리 따기 체험의 즐거움과 농장의 따뜻한 분위기를 전달하기 위해 각 장면의 구성을 잡았습니다.
  • 중요 장면 설정: 예를 들어, 첫 장면에서 농장의 전경을 보여주고, 중간에는 블루베리를 따는 체험 장면을 강조했습니다.
  • 러프한 드로잉: 복잡한 그림보다는 간단한 스케치로 장면의 구도와 대략적인 구성 요소를 표현했습니다.

 

 

 

느낀 점

주제 선정과 중요한 포인트들은 GPT가 정해주다 보니 대략적인 스토리보드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영상의 구도, 트랜지션, 모션 등의 요소들을 구상하고 스케치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웠습니다. 이를 통해 단순한 아이디어 단계에서 실제로 시각적인 구성으로 옮겨가는 데 얼마나 많은 고민과 연습이 필요한지 깨달았습니다.

 

2. 애니매틱 작업: 영상의 움직임을 테스트하다

애니매틱(Animatics)은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의 청사진으로, 스토리보드의 움직이는 형태를 시각화한 것입니다. 애니메이션 제작의 최종 편집으로 발전하며,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단계에 해당합니다.   이번 작업에서는 스토리보드에서 구상한 장면을 애니매틱으로 구현해 보았습니다.

 

주요 작업 내용

  • 음악에 맞게 화면 전환 타이밍 설정: 배경음악의 리듬에 맞춰 화면 전환의 타이밍을 조정하여 자연스러운 흐름을 구현했습니다.
  • 각 화면 별 유지 시간 설정: 중요한 장면은 더 오래 유지하고, 덜 중요한 장면은 짧게 배치하여 전체적인 영상의 균형을 잡았습니다.
  • 간단한 움직임 표현: 블루베리를 따는 손의 움직임, 카메라 줌 효과 등을 테스트했습니다.

 

간단한 애니매틱, 역시 에펙을 켜서 하는 작업이 가장 재미있다.

 

3. 다음 작업 계획: 스타일 프레임과 그래픽화 작업

스토리보드와 애니매틱 작업을 마친 후, 이제 스타일 프레임 작업과 전반적인 그래픽화 작업에 들어갈 생각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영상의 시각적인 완성도를 높이고, 각 장면의 디자인 요소를 구체화하며, 전반적인 색감과 분위기를 결정하게 됩니다.

앞으로도 작업 과정과 결과물을 이 블로그에 계속해서 공유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B의 모션 작업실은 늘 새로운 도전을 통해 성장하고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