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After Effects 최대 컴포지션 크기 & 초고해상도 최적화 가이드
After Effects(에펙)에서 고해상도 작업을 하고 싶은데, 컴포지션 크기 제한이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 4K, 8K, 16K 작업 가능 여부부터 초고해상도 작업 시 속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최적화 방법까지! 이번 글에서 모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 After Effects 최대 컴포지션 크기
항목 | 최대 제한 | 비고 |
해상도 | 30,000 x 30,000 픽셀 | 고사양 PC 필요 (RAM, GPU 중요) |
프레임 수 | 최대 108,000 프레임 | 약 3시간 (@30fps 기준) 긴 영상 제작 시 참고 |
출력 해상도 제한 | H.264 코덱은 최대 8K 지원 | 초고해상도는 ProRes, EXR 사용 권장 |
💡 [이미지 추가] AE 컴포지션 설정 창에서 최대 해상도 설정 (30,000 x 30,000 픽셀 예시)
⚠️ 고해상도 작업 시 주요 문제와 해결책
문제 유형 | 원인 | 해결책 예시 |
작업 속도 느려짐 | 고해상도(4K 이상) 작업 시 렌더링 부하 증가 | 프록시 기능 활용, 미리보기 해상도 낮추기 |
메모리 부족 오류 | RAM 사용량 증가로 인한 메모리 부족 현상 | 캐시 크기 확대, RAM 업그레이드 |
출력 코덱 제한 | H.264 등 일부 코덱이 8K 이상 지원 불가 | ProRes, EXR 등 고해상도 지원 코덱 사용 |
파일 용량 과다 | 초고해상도 영상의 파일 크기 증가 | PNG, EXR 이미지 시퀀스 출력 활용 |
🚀 초고해상도 작업을 위한 4가지 필수 최적화 팁
1️⃣ 프록시 기능 활용하기
- 고해상도 영상을 저해상도의 프록시 파일로 변환하여 작업
- 실제 출력 시 고해상도 원본을 사용하여 품질 유지
2️⃣ 저해상도 미리보기 활용하기
Edit > Preferences > Media & Disk Cache
- 미리보기 해상도를 1/2 또는 1/4로 설정하여 작업 속도 향상
- Disk Cache 크기 설정 (50GB 이상 권장)
2️⃣ 멀티프레임 렌더링 활성화하기
Edit > Preferences > Memory & Performance > Enable Multi-Frame Rendering 체크
- CPU 멀티코어 효율적으로 사용해 렌더링 속도 크게 개선
3️⃣ 이미지 시퀀스 형식으로 출력하기
- PNG, EXR 등 이미지 시퀀스 출력 권장
- 고해상도 영상 품질 유지 및 렌더링 안정성 확보
💡 [이미지 추가] 렌더링 큐에서 이미지 시퀀스 형식으로 설정한 모습
4️⃣ 불필요한 레이어 및 이펙트 정리하기
- 사용하지 않는 레이어 숨기거나 삭제
- 무거운 이펙트(모션 블러, 그림자 효과 등)는 최소화
🏆 요약: 고해상도 작업 핵심 포인트
- AE 최대 해상도는 30,000 x 30,000 픽셀이며, PC 사양에 따라 실제 사용 가능 여부 결정
- 4K 이상의 작업 시 속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프록시 기능을 적극 활용
- 멀티프레임 렌더링 및 이미지 시퀀스 출력으로 작업 효율 최적화
- 빈번한 초고해상도 작업 시 Unreal Engine 등 실시간 렌더링 툴과의 병행 사용 권장
🎬 추가적으로 궁금하거나 어려움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유용한 팁과 함께 도와드리겠습니다 😊
728x90
반응형
'에펙 기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프터 이펙트 팁: 에프터 이펙트 합성 기초: 그린스크린 키잉 & 자연스러운 합성 팁 (0) | 2025.03.21 |
---|---|
에프터 이펙트 팁: 컴포지션 길이 자동 조정 스크립트 무료 배포 (0) | 2025.03.16 |
에프터 이펙트 팁: After Effects에서 MP3 파일이 끊기는 이유 & 해결 방법 (0) | 2025.03.03 |
에프터 이펙트 팁: 반사(Reflection) 이펙트 만들기 가이드 (0) | 2025.03.01 |
에프터 이펙트 팁: 고급 익스프레션 활용법, 더 스마트한 애니메이션 만들기 (0) | 2025.02.24 |